졸업 후 진로
- 국내외 생명과학/생명정보학 관련 대학원 및 의/치학 전문 대학원 진학
- 제약, 식품, 화학회사와 생명과학연구소 등의 생명과학 관련 연구소 및 기업체
- 보건연구원, 환경연구원, 농촌진흥청, 국립과학수사연구소 등의 국공립연구소 연구원
전망과 비전
생명과학전공
생명과학이란 생명 현상을 탐구, 이해하여 생명의 본질을 규명하려는 기초 자연과학의 학문일 뿐만 아니라 의학, 약학, 농학, 생명공학 등의 인접 응용 학문 분야의 발전 원동력을 제공하는 응용적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생명과학의 발전은 생명산업 발전의 필수적인 요소이며, 21세기 국가 경제 발전의 새로운 원동력으로써 생명산업분야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고, 인류가 처한 난제 즉 식량 문제, 난치성 질병과 장애, 환경 문제 등에 대해 해결책을 생명공학이 줄 것이라고 전망되고 있어, “건강한 삶”, “풍요로운 삶”, “깨끗한 환경”을 제공하는 “바이오사회 (Biosociety)"의 구현에 생명과학의 발전이 필수적임을 감안할 때 생명과학 분야의 전문 인력의 사회적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될 전망이다.
생명정보학전공
사람, 효모, 애기장대, 벼, 꼬마선충 등을 비롯하여 많은 생물체의 전체 유전정보 (유전체: genome)가 밝혀짐에 따라 21세기의 생명과학은 소위 “포스트 유전체”시대에 진입하게 되었으며, 단일 유전자 수준에서 생물체 전체 수준에서 생명현상을 분석, 연구하는 유전체학(Genomics), 단백질체학(Proteomics), 대사체학(Metabolomics), 시스템생물학(Systems biology) 등이 핵심연구 분야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같은 총체학적 생명과학 분야는 IT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집적, 분석, 가시화하는 새로운 분야인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의 도입과 발달이 절대적이다. 생명과학 전문 지식과 컴퓨터를 이용한 정보 처리 능력을 겸비한 생명정보학 분야의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는 순수 연구는 물론 의학, 약학, 환경 등 인접 응용 생명산업 발전에 따라 폭발적으로 증가될 전망이다.
중장기 발전계획 : 특화분야의 선도적 학부 지향
차별화 전략
- 교육부분 글로벌 인재 양성
- 학부와 대학원 교육의 연계 활성화 실험교육의 내실화
- 학부 연구 프로젝트과목 강화
- 산학협동 연계 프로젝트 강화
세계화 전략
- 연구부분 선택과 집중으로 선도적 연구역량 확보
- 우수 교수진 확보
- 대학원 교육 지원체제 확충
- 대형 국제 연구사업유지